.

    비트코인을 이제는 많이 알고 계실거 같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가 대략적으로 일년도 남지 않았는데요. 

     

    문득 궁금해지는 비트코인 반감기 날짜는 대략 언제이고,
    최초가격은 얼마였는지도 알아보려고 합니다. 

     

    2024 비트코인 반감기 카운트다운으로 날짜를 보실 수 있는데요.

    궁금하신 분은 바로 이동하셔서 웹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에 링크 남겨놓겠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 카운트다운

     

     

    비트코인 반감기와 가격에 대한 이야기도
    궁금하시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비트코인 반감기 카운트다운 바로 보실 수 있는 사이트 링크입니다. 


    바로 웹사이트로 이동,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 

     

    비트코인 반감기 카운트다운을 방문해보시면, 이제 1년도 채 남지 않을 것을 보실 수 있으실거에요. 

     

     

     

    ● 카운트다운 바로가기

     

    감안해서 보실 부분이 있다면, 1개의 블록이 생성되는 시간입니다. 

     

    블록 생성 시간이 현재 기준이 있고, 우리가 알고 있는 평균적인 비트코인 블록 생성시간은 10분이 있는데요.그로 인해, 갭이 생기고 아래와 같이 날짜에도 1달여가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미지를 누르면 웹사이트로 이동, 더 자세히 더 많은 내용 확인

     

     

    비트코인반감기 카운트에서 현재 기준 블록생성 시간으로 2024년 비트코인 반감기 날짜는 2024년 3월 23일 경이 될 것으로 추정하는거 같습니다. 

     

    만약, 비트코인 생성 시간을 10분 기준으로는 2024년 4월 27일 쯤이 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비트코인 반감기를 왜 궁금할까요?

    비트코인 가격 즉 가치의 변화를 생각해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와 가격

     

     

    처음 접했을 때가 2013년 정도였던거 같습니다. 접했다라는 표현보다는 비트코인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정도가 좀 더 가까운 표현이 될 거 같습니다. 

     

    비트코인의 가격 추이 그래프 (2010년부터)

     

    비트코인의 가격이 만원을 넘고 십만원 정도가 되었던 때 알게 된 듯 하네요. 

     

    이때 조금이라도 관심을 더 가졌더라면 하는 이야기는 또 안하면 아쉽죠? 

    계좌에 그냥 있던 단돈 몇 십만원이라도 사둘걸...껄껄껄... 이러는거죠. 

     

     

    시간이 지나,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생겨 공부도 하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조금 배우고 먹고 산 덕에 소스코드도 한번 들여다 보기도 했는데요. 그 깊이는 아무래도 얕았다.. 싶네요. 

     

     

    비트코인 반감기는 말 그대로 어떤 양이 절반으로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 정도로 가볍게 우선 알아두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가 일어나기 전에는 평균 10분마다 50개씩 채굴할 수가 있었고 이때는 컴퓨터로도 채굴이 가능했다고 하죠. 뉴스에서도 보셨을텐데요. 비트코인 채굴하던 오래된 pc를 버렸다는 이야기요. 채굴했던 기억이 없었거나 비트코인 가치에 대한 확신(?)이 없었고 호기심에 의해 비트코인 채굴을 한 것이 아니였을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비트코인 반감기

    비트코인 반감기는 대략적으로 4년 주기로 일어납니다. 비트코인은 2140년까지 채굴 수량이 2100만개로 한정이 되어 있죠. 처음에는 50개씩 채굴이 되는데요. 1차 비트코인 반감기는 2012년 11월 28일 경이였고요. 2차 반감기는 2016년 7월 9일, 3차 반감기는 2020년 5월 20일경이였어요. 이때 마다 보상이 50개에서 25개, 25개에서 12.5개로 줄었지요. 1년여를 남긴 현재는 6.25개로 채굴되어지고 있겠네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사람은 비트코인 가격이 1달러가 되는 것을 보고 사라졌다고 하는데요. 1달러 가치. 비트코인 1달러의 가치가 왜 그리 중요한지 한번 살펴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많은 유튜버 혹은 비트코인을 무척 아끼는 사람들 이야기가 있더라고요. 

     

    처음에 비트코인 가격은 얼마였을까요? 가치가 있었을까요?

    그렇진 않을거 같지만, 모두 아시는 중요 사건이 있죠. 

     

     

     

     

    맞습니다. 피자이야기입니다. 

     

    그 이전에 좀 더 비트코인 반감기와 가격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은데요.

     

    비트코인 채굴은 채굴기를 통해서 하죠. 컴퓨터로도 가능했던 옛날에 비해 더 많은 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한 더 높은 성능고 사양의 비트코인 전문 채굴기가 나오게되고요. 이렇게 되면 더 많은 비트코인이 채굴되는 것이 아닌가? 2140년까지도 갈 필요가 없는거 아닌가라도 생각하실 수 있을거 같습니다. 저 또한 그리 생각했었는데요. 

     

    비트코인 공급에 대한 것을 조절하기 위해서 수학문제 풀이 난이도가 있죠. 즉 채굴 난이도를 조절하여 채굴자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수학문제(암호)를 풀게 되는데, 그 문제의 어렵고 쉬운 정도를 말합니다. 

     

    이 난이도 조정 시점은 매 2016번째 블로마다 이뤄진다 하고, 만약 2016개 블록 생성 시간이 1주일이 걸렸다면 난이도를 2배 증가 시키도록 조절한다고 해요. 목표치가 2주에 2016 블록이라고 합니다. 

     

    비트코인 반감기에 따라 보상이 반으로 줄어 공급이 줄어들고 수요가 여전하다면 가격은 수요와 공급 원칙대로라면 가격상승하는 방향으로 될 것인데요. 하지만, 늘 그렇게만 되는 것은 아닐텐데요. 

     

     

    그러나, 지금까지는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가격은 대부분 상승의 효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시간이 걸렸던거 같습니다. 그 시기가 반감기 완료, 바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데 있습니다. 

     

    위 제시해드린 반감기 날짜와 비트코인의 가격 그래프를 한번 보시면 아시게 되실겁니다. 

     

    이번 돌아오는 반감기도 같은 패턴으로 보일지는 그 누구도 예상할 수 없고 알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기대감 또한 상존한다는 것이지요. 

     

     

     

    비트코인 최초가격

    비트코인이 현물 거래 수단으로 사용된 날을 기억하시나요. 며칠 후면 그날인데요. 2010년 5월 22일을 기념하여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매년 5월 22일은 '비트코인 피자데이'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현물 거래 수단으로 이용된 첫 사례, 비트코인 1만개와 피자 2판

     

    비트코인의 가격(가치)은 2010년 5월에 대략적으로 피자 2판에 해당하죠. 그것도 비트코인 1개가 아닌 무려 1만개와 피자 2판이 거래가 성사된 거죠. 이때 파파존스와 배달 성사가 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가격은 대략 30달러 선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편의상 환율 1,000원으로 보고요. 비트코인 1개 가격은 대략 3원? 정도였다고 봐도 될듯 합니다. (다른 가격이다라고 알고 계시다면 댓글로 부탁드려요~)

     

    비트코인은 1달러가 2011년 2월 13일 경에 되었네요. (가격은 거래소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정확한 날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21년 11월 13일 6만 4천 달러 ($64,158, 코인마켓캡 기준) 최고점을 형성 후 오늘 기준(2023.05.16) 2만 7천달러 선에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1년 후 그리고 비트코인 반감기 카운트다운이 완료된 이후부터 비트코인 가격이 어떻게 될지 벌써 궁금한데요. 시장의 흐름을 보면서 비트코인 시세를 다시 한번 본다면 또 다른 재미가 있을거 같습니다. 

     

    지금까지 비트코인 반감기와 카운트다운 볼 수 있는 사이트에 대해서 알아봄과 동시에 다양한 정보를 조금씩 담아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관련글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